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심리학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 이야기

심리학

by 박민돌 2023. 1. 19. 13:45

본문

 

지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Sigismund Schlomo Freud, 1856년 5월 6일 ~ 1939년 9월 23일)는 오스트리아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이다.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는 무의식과 억압의 방어 기제에 대한 이론, 환자와 정신분석 자의 대화 통하여 정신 병리 치료하는 정신분석학적 임상 치료 방식을 창안한 것으로 매우 유명하다.

또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는 성욕을 인간 생활에서 주요한 동기 부여의 에너지로 새로이 정의하였으며, 치료 관계에서 감정 전이의 이론, 꿈을 통해 '무의식적 욕구'를 관찰하는 등 치료 기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초기 뇌성마비를 연구하기도 하였다.
신프로이트주의에서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의 많은 이론을 버리거나 수정하였다.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의 방법과 관념은 임상 정신 역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의 생각은 인문 과학과 일부 사회 과학에 계속 영향을 주고 있다.

지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는 신체 부위에서 리비도의 이동에 따라 쾌감을 추구하는 신체 부분 또는 방법이 달라지는 데 따라 발달 단계를 구분하였다.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재기, 성욕 기로 나누는데 이를 심리성적 발달 단계(psychosexual developmental stage)라고 한다.
처음의 세 단계에서는 자신의 신체 부위에서 만족을 추구하므로 〈전성 욕이〉(pregenital stage)라고 한다. 

뒤의 두 단계에서는 특정의 신체 부위가 아니라 이성 관계 등 사회적 활동을 통해 만족을 추구하므로 〈성욕기〉(genital stage)라고 한다.
(1) 구강기(oral stage, 0~2세)
이 시기에는 입이 두 가지 형태의 행동을 한다.

먹고 마시는 흡입 행동과 깨물고 뱉어내는 행동이다.

흡입 행동에 고착되면 먹고 마시고 흡연과 음주, 키스 등에 관심이 많으며 성장하여 낙천적이고 의존적으로 된다. 이가 나올 때 깨물고 뱉어내는 등 입의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나는데 여기에 고착되면 성격적으로 적대감, 질투, 냉소적, 비관적, 공격적으로 되고 남을 통제하려고 한다.
(2) 항문기(anal stage, 2~4세)
생후 첫해에는 부모들이 아동의 욕구가 부모를 통하여 최대한 충족되지만 배변 훈련 시기부터는 아동은 차츰 욕구 충족이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으며 거부되기도 하고 따라서 유예해야 함을 배운다.

이 시기에는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배변 활동을 통해 쾌락과 욕구 충족을 느끼는데 적절히 훈련하여 아동의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 배설물을 중요하게 여기고 자기 창조물로 보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성격이 된다.
배변 훈련이 지나치게 엄하거나 잘 학습되지 못하면 부모의 요구에 대항하는 적대적, 가학적, 파괴적 성향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항문을 이완시켜 배변하는 것보다 조이는 데에서 쾌감을 느끼는 경우 지나치게 깔끔하여 결벽증 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그 밖에 융통성이 없는 기계적 성격, 구두쇠 심리가 나타난다.
(3) 남근기(phallic stage, 4~6세)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되어 이의 감수성이 민감해지고, 만짐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시기이다. 성 차이를 인식하고 출생에 대한 관심을 보인다.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빠져 어머니를 성적 애착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아버지를 미워하는 두려움이 나타난다. 

여아는 남아와 비교하여 음경 선망 등 열등감과 좌절감을 겪는 동시에 아버지를 성적 애착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어머니를 적대시하는 엘렉트라 콤플렉스에 빠진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콤플렉스 현상은 동성 부모의 성역할을 학습함으로써 해소된다. 해소 정도에 따라 성역할 정체감과 성인기의 이성에 대한 태도가 결정된다.
(4) 잠재기(latency stage, 6~12세)
초등학교 시기부터는 성적 욕구의 만족이 신체의 특정 부위의 자극이 아니라 친구 관계, 취미활동, 스포츠 등 사회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는 쾌락원칙을 버리고 현실원칙을 따르며 아버지의 권위와 금지 또는 양심에 따라 사회적 도덕적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5) 성욕기(genital stage, 12세 이후)
사춘기로서 성적 충동을 정상적인 성욕으로 통합하는 시기이며, 정서적 해방과 독립을 추구하는 심리적 이유기이다. 앞서 단계들에서보다 약하기는 하지만 이 단계에서도 갈등이 있다. 그러나 앞서 어느 단계에 고착되지 않았다면 이성과의 관계가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성 관계와 또래 관계를 맺기, 학문 몰두하기 등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활동을 통해 만족을 찾고, 원시 자아의 충동을 승화시킨다.

과학철학자 칼 포퍼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반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과학일 수 없다고 보았다.

아돌프 그륀바움은 정신분석학은 반증 가능하며, 사실상 틀렸음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비판자들과 옹호자들 간의 논쟁은 때때로 매우 격렬해져서, 이러한 논쟁들은 지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 전쟁으로 보였다.
한편 알프레트 아들러 나 칼 융의 경우는 프로이트와는 다른 관점에서 무의식의 개념을 다룬 바 있다.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초기에는 정신분석학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심리적 접근에서 절대적으로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는 맥락의 보고를 한 바 있다.
그러나 많은 심리학자들은 프로이트가 개척한 인간의 무의식 영역과 본능에 대한 깊은 이해의 결과물들이 논리적이지 않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는데에도 동의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